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시행된 서울시 산후조리비, 산후조리경비 지원 사업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목차
서울시 산후조리비 지원사업은 출산에 소요되는 경제적부담을 경감하고 출산 이후 산모의 건강권을 확보하기 위해 산후조리경비를 지원하는 서울시 출산 장려 사업 중 하나입니다.
산모 1인당 100만원
(쌍태아 200만원, 삼태아 300만원)
산모 명의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에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
신청일 현재 6개월 이상 계속하여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2023년 7월 1일 이후 출산한 산모,
그리고 태어난 아이는 서울시에 출생신고를 해야 합니다.
* 그 외에 소득기준은 X
* 산모와 아이의 거주지가 다른 경우에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예: 산모는 종로구, 아이는 중구로 거주지가 다른 경우엔 신청서에 '가족관계증명서(주민등록번호 뒷자리까지 모두 표기)'를 첨부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신청
*단, 2023년 7월 1일 ~ 2023년 8월 31일 사이의 출생아이의 경우 2023년 10월 31일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1.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개인부담금의 90%(최대 50만원) 지원
- 흔히 말하는 서울시의 산후도우미 서비스입니다.
2. 의약품, 한약조제 건강식품 구매
3. 산후 운동수강 서비스
- (몸건강) 체형교정, 전신마사지, 붓기관리, 탈모관리, 요가, 필라테스
- (마음건강) 산후 우울증 검사 및 상담치료
* 1번 서비스 50만원 상당의 바우처 지급, 2&3번 서비스 50만원 상당의 바우처 지급이에요. 즉, 마사지에 100만원을 전부 사용할 수 없다는 겁니다!!
* 그리고, 산후조리원 기본이용료는 결제할 수 없어요! 대신, 산후조리원 내에서 업종 코드가 다를 경우 체형관리, 붓기관리, 마사지 등으로는 사용할 수 있다고 하니, 이 부분은 산후조리원에 문의해 보셔야 합니다!!
이 내용을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마다 사용 기한이 다릅니다!
1.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2. 의약품, 한약조제 건강식품 등 구매 및 3. 산후 운동수강 서비스: 포인트 발급일로부터 6개월
신청 전에 먼저 출생신고를 해야합니다!
그리고 바우처 포인트를 받을 카드를 준비해야 하는데요, 아래 카드사의 산모 본인 명의의 카드가 필요합니다.
* 신한(국민행복카드만 가능), 삼성, KB국민, 우리, BC(IBK기업, 신협, 새마을금고, 우체국) *
신청은,
서울 맘케어 통합시스템에서 온라인 신청하거나, 관할 동주민센터에서 방문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방문 신청 시, 본인 명의 휴대폰(또는 신용/체크카드)과 신분증 필요!)
대리신청은
출산한 사람과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가 필요합니다.
☞ 배우자가 대리 신청할 경우 위임장 및 관계 확인 서류 불필요
(배우자) 신분증, 출산자 명의 본인인증용 휴대폰(또는 신용.체크카드)
(배우자 외) 신분증, 위임장, 출산자와의 관계확인서류, 출산자 명의 본인 인증용 휴대폰(또는 신용.체크카드)
1. 첫만남 이용권을 사용하는 신용카드에 산후조리경비를 지급 받은 경우?
첫만남 이용권과 산후조리경비를 국민행복카드로 동일하게 사용하는 경우, 바우처 사용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실텐데요, 포인트는 카드사별 우선순위에 따라 차감되므로 아래의 표를 참고해 주세요!
* 국민행복카드가 아닌 다른 카드로 결제할 경우 첫만남 이용권과 별개로 바로 산모 산후조리경비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KB국민, 삼성, 우리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산모신생아건강관리서비스 자기부담금 결제에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바우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일 카드사의 다른 카드(첫만남 이용권 바우처와 다른 카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 임산부교통비 지원금의 우선 차감도 BC카드만 제외하고 동일합니다.(BC카드 임산부 교통비 후순위)
2. 서울시 외 경기도 등 타 시도에서도 바우처 사용이 가능합니다.
3. 산모 산후조리경비 지원금은 신용카드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4. 지원금 신청 시 카드사만 선택하게 되어 있습니다. 카드를 여러 장 가지고 있을 경우 어느 카드에 지급되는지?
한 개 신용카드사에 여러 장의 카드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 여러 장 중 어떠한 카드를 사용하더라도 바우처 포인트가 차감됩니다.(카드가 지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카드사의 모든 카드 바우처 사용 가능)
※ 단, 신한카드는 ‘신한카드 국민행복카드’로만 신청 및 사용가능
5. 서울시 5개월 거주 후 타 시도로 옮겼다가 다시 서울로 전입신고를 한 지 6개월이 지나지 않은 경우, 거주기간을 합하여 지원 가능한가요?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6개월 이상 계속 거주하여야 하므로 타시도로 옮겼다가 서울시로 다시 전입 신고를 하였다면, 다시 서울시 전입 신고일 이후 6개월이 지나야 지원 가능합니다.
기간을 합산하여 적용하지 않습니다.
6. 서울시 거주 6개월 요건을 충족하는 날짜가 출산 후 60일이 조금 지난 날짜입니다. 신청이 가능한가요?
서울시 거주기준을 충족하여도 출산 후 60일이 경과된 사람은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서울시 산후조리비, 산후조리경비 지원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기타 자세한 내용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_^
저의 경우에는 나중에 첫 만남 이용권과 같은 카드에 받을지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아요...
그리고 저는 나중에 집으로 출장 마사지를 불러서 받고 싶어서 조리원 내에서의 추가 마사지는 결제하지 않았는데, 자세한 결제 방법? 결정을 위해 보건소와 출장 마사지 업체에 문의를 해보려고요.
많은 정책들이 나오고 있는 만큼, 예비 부모님들과 임신 계획 중이신 분들, 미리미리 알아보시면서 임신 및 출산 준비하세요!
한전 전기료 할인 대상 출산가구 전기요금 할인 금액 및 신청 방법 (1) | 2023.12.16 |
---|---|
2023 한강 불빛 공연 드론라이트쇼 날짜, 정보 (10) | 2023.09.25 |
눈을 자꾸 깜박여요, 우리아이 틱장애일까요? (0) | 2023.09.22 |
부모급여 지급액, 지급시기, 신청방법 및 자격조건 (0) | 2023.08.30 |
[생활정보] 2022년 기준 중위소득표(+중위소득별 복지혜택) (0) | 2022.06.24 |